우리나라 전통 가구인 반닫이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딱 한 마디로 그 지역의 반닫이 특성을 정리하긴 어렵고 한 지역 내에서도 조금씩 다른 모양새의 반닫이가 나오기도 한다.
다음 사진의 반닫이들은 지역의 특색을 많이 보이는 것들이다. 각각 무슨 반닫이일까?
보기 : 강화반닫이, 경기도반닫이, 제주궤, 평안도박천반닫이, 나주반닫이
-----
몇 마디의 말로 정의내리기는 어렵지만 각 지역별 반닫이의 특징을 모아보았다. (대체로 그렇다는 것이고 아닌 경우도 있다.)
* 나주 반닫이
①
②
③
④
⑤
-----
몇 마디의 말로 정의내리기는 어렵지만 각 지역별 반닫이의 특징을 모아보았다. (대체로 그렇다는 것이고 아닌 경우도 있다.)
* 경기도 반닫이
많은 호리병 모양의 경첩 사용
동식물 문양의 장식
일반적으로 백동 장석으로 현란하게 꾸며짐
* 강화 반닫이
무쇠 장식에 '만(卍)'자 또는 '아(亞)'자를 새긴 것이 많음
맨 위 천판의 위쪽이 아닌 앞쪽(이마목)에 자물쇠 뻗침대를 고정하는 특징. 직길목.
(다른 지역은 대개 곡길목. 천판 위에서 꺾어진 뻗침대.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두껍고 튼튼한 판재가 있어야 하고 숙련된 기술로 고정해야 함 > 비쌈)
* 제주도 반닫이(제주 궤)
느티나무를 주로 사용
경첩, 앞바탕에 버선코나 실패 문양
석류형의 감잡이
마름모형 입체적인 광두정, 봉오리형 거멀잡이 장석 등으로 전면을 장식
두껍고 강한 장석 강조 - 남성적
* 평안도 반닫이
장석에 구멍을 많이 뚫은 것이 특징 - '숭숭이' 또는 '박천반닫이'로도 불림
피나무를 주로 사용하여 변형 방지
소피에 삶아 장식의 변형이나 빛깔 변화를 막는 경우 많음
* 전라도 반닫이
간결하고 여유로운 공간감이 특징
최대한 멋을 자제하고 수려한 디자인 추구
* 나주 반닫이
가장 단순하고 소박한 형태
무쇠로 된 앞바탕과 배꼽장식, 경첩만으로 장식
경첩 위에 동그란 못들이 보이는 것이 많음
이밖에도 평양 개성 충무 밀양 진주 고흥 영광 등등 많은 종류의 반닫이가 있다. 반닫이 종류를 몇 가지 눈에 익혀 놓으면 재미있게 감상할 수 있고, 여유 생기면 하나쯤 집에 들여놓을 만한 것을 찾아볼 수 있겠다.
정답은 다음과 같다.
정답은 다음과 같다.
① 나주반닫이
② 평안도박천반닫이
③ 강화반닫이
④ 제주 궤
⑤ 경기도반닫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