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와 비슷한 시기. 금수저로 태어나 관직같은 골치아픈 일은 하지 않고 평생 좋은 경치 구경 다니고 좋아하는 시서화에 힘써서 작품들을 남긴 사람이 있다. 지우재 정수영(之又齋 鄭遂榮, 1743-1831)이 바로 그. 당시로서는 드물게 89세까지 산 것도 스트레스 없이, 그렇다고 놀기만 하지도 않고 적당히 열심히 살았기에 가능했지 않았을까도 싶다.
지우재 정수영의 대표작은 한강과 임진강의 명승과 경치를 두루마리에 그려낸 <한강임강유람사경도권漢江臨江遊覽寫景圖卷>이나 금강산을 유람하고 나서 그린 『해산첩』의 그림 등이다. "유탄(柳炭 : 버드나무 숯)으로 초본을 그리고 거친 독필(禿筆 : 끝이 거의 닳은 붓)을 사용"해 대담하고 시원하게 그려내는 것이 그 그림의 특징이지만, 국립 박물관 소장품 중에 차분히 그려낸 정통 산수화 병풍도 한 점 있어서 가져와 본다.
4-3-2-1
8-7-6-5면
정수영 <사계산수도 8폭 병풍> 1814년, 각 72.3x44.6cm(그림), 전체 56.9x144.4cm, 국립중앙박물관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2폭씩 차례로 그린 8폭 병풍으로 오른쪽부터 봄이 펼쳐진다. 1폭의 버드나무 가지에 연두색으로 물이 오른 것으로 봄을 알 수 있다. 2폭 쯤에 꽃나무가 보이지만 색을 아껴서 조금 아쉽다. 3~4폭의 짙게 물든 나무와 시원해 보이는 폭포 물줄기가 여름 산수를 대변한다. 마찬가지로 5~6폭은 붉은 단풍, 7~8폭은 먹을 거의 안 쓴 붓으로 앙상한 가지와 눈 내린 겨울 산을 담백하게 표현해 계절감을 표현했다. 각 면에는 계절에 맞는 시를 붙였는데 일흔이 넘은 나이 1814년에 그린 그림이기에 각 폭에 늙고 병든 자신의 처지를 아쉬워하는 자작시여서 문인의 면모를 보인다. 여행을 좋아하던 그였으니 나이 든 몸을 끌고 마음껏 돌아다니지 못함이 더욱 슬펐을 것이다.
제 1면
제 3면
제 5면
제 8면
화보로 남종화풍을 익히고 심사정, 이인상, 강세황 등의 선배들 화법을 배운 데다 진경산수화풍 또한 섭렵할 수 있었는데, 여기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개성을 좀더 발휘한 화풍을 만들어냈다. 이런 화풍은 진경의 경우에 더 잘 드러나서 대담하고 자유분방하게 화면을 펼치는 것, 솔직 간략한 필치를 사용하는 것을 좋아했다. 남종화의 준법을 쓰기도 하지만 그에 얽매이기보다는 거칠지만 자신의 준법으로 산과 절벽 등을 표현했다.
나무랄 데 없는 보기 좋은 산수 병풍인데 조금 더 그의 개성을 보여주었으면 싶어 아쉽기는 하다. 이 사람은 조선 초기의 문신 정인지(鄭麟趾, 1397-1478)의 후손이고, 실학자 겸 지도 제작자 지리학자인 정상기(鄭尙驥, 1678-1752)의 증손자이기에 글도 잘 하고 여행도 좋아했다. 그러니 역시 개성을 발휘한 진경산수가 더 맞는다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