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와 리뷰 > 전시

동산 박주환 컬렉션 특별전

-20세기 후반 한국화의 부흥과 쇠퇴에 관한 연대기

전시명 : 동녘에서 거닐다: 동산 박주환 컬렉션 특별전
장 소 :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2층, 3, 4 전시실
기 간 : 2023.5.18 ~ 2024.2.12

글/ 김진녕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에서 <동녘에서 거닐다동산 박주환 컬렉션 특별전>(2023.5.18.- 2024.2.12.)이 열리고 있다. ‘동산 박주환 컬렉션은 동산방화랑의 설립자 동산(東山박주환(1929-2020)이 수집하고 그의 사후 동산의 아들 박우홍이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한 작품 209(한국화 154회화 44조각 6판화 4서예 1)으로 구성돼 있다.


동산방은 표구사로 먼저 유명해졌다
. 1961년 인사동에 동산방이 문을 열었고, 1974년부터 화랑업을 시작했다. ‘미술품=동양화로 여겨지며 거래되던 88올림픽 이전의 한국미술시장에서 동산방의 존재감은 절대적이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한국인 수장가의 주요 관심사였던 조선 후기의 삼원ㆍ삼재의 작품(과 표구), 1970-80년대 국내 한국화 붐의 상징과도 같은 청전 이상범ㆍ소정 변관식 등이 포함된 숫자로 표기되는 ‘X대가식의 기획전(표구) 등이 동산방의 작품이다몇 년 전 미술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천경자의 미인도 위작 논란 때 정황 증거로 동산방의 표구가 제시됐었다동산방이 20세기 중반을 주름잡던 장우성ㆍ박노수ㆍ천경자 등의 한국화 계열 작품 표구를 거의 도맡다시피 했기 때문이다동산방의 창업자 박주환은 화랑업을 시작한 1974년부터 기획전시를 통해 한국화에 특화된 선구안과 취향을 선보인, 70-80년대 한국화 붐의 주도자이기도 하다. 그는 1975년 한국화랑협회 창립을 주도했고2(1978~1981) 6대 회장(1987~1991) 회장을 지냈으며 그의 아들 박우홍은 제 17대 한국화랑협회 회장을 지냈다.



사면액자, 평액자, 죽절액자, 원형액자


동산방의 209점의 기증작 중 90여 점을 선별해 보여주는 이번 전시는 20세기 한국화의 흥망성쇠사를 방불케 한다특히나 전시장 말미 벽면에 프린팅된 100여 년의 한국 미술사 연표와 1974년 이후의 동산방 화랑 연도별 전시 기록은 한국화 부흥기의 연대기이기도 하다.



전시는 김규진(1868-1933)의 대나무 그림과 허백련(1891-1977)의 '달과 매화' 병풍이 열고서양화의 팝아트 기호를 화면에 이식한 김근중(b.1955)의 화조(모란)와 유근택(b.1965)의 소요도(산책)로 닫힌다.



허백련(1891-1977) <월매> 종이에 먹, 10폭 병풍, 205x390cm


과천관 2층 전시장을 모두 활용하는 전시는 크게 다섯 마디로 구성되어 있고 회랑에는 별도로 동산방의 출발점인 전통 표구에 대한 기술적인 설명과 도구작가마다 다른 취향으로 인해 등장한 오당(안동숙)식, 남정(박노수)식, 산정(서세옥)식, 지목(이영찬)식의 표구 방법이 실제 표구 샘플과 함께 등장해 전통 회화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고 있다.

1부는 신구화도(新舊畵道): 옛 그림을 연구하여 새 그림을 그리다’라는 제목으로 김규진과 김진우의 묵죽화김은호의 매화도 병풍이용우의 기명절지 등을 소개하고 있다해방 이전, 20세기 전반의 한국화에 초점을 맞췄다.



김규진(1868-1933) <풍죽> 1920년대, 비단에 먹, 134x39cm


2부는 한국 그림의 실경(實景)’이다해방 이후 국대안 파동한국전쟁을 거치며 화단은 대학이라는 시스템이 보편화되고 국전이라는 거대 이벤트를 놓고 크게는 수묵과 채색 진영으로 나뉘었다. 단구미술원백양회후소회 등 수많은 단체가 이합집산을 거듭했던 시기. 전시에서는 김기창과 장우성이응노정은영유지원 등의 수묵담채화나 채색화를 선보이고 있다.



김기창(1914-2001), 매, 1979, 비단에 먹, 색, 104x194.5cm


유지원(1935-) <귀가> 장지에 색, 4폭 병풍, 219x299cm


3 ‘전통적 소재와 새로운 표현에서는 해방 뒤 미술대학에서 미술을 배운 세대가 화단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1960년대 이후 상황이 담겨있다. 3부의 들머리에는 19세기 미인도를 현대적으로 그리던 장운상의 미인도가 걸려있다. 3부는 대체로 서세옥 중심의 묵림회(1960-1964)의 활동과 송수남 중심의 수묵화 운동(1980년대)의 자장에 들어있는 작품 소개가 주를 이루고 있다현대적 실경산수화를 모색했던 오용길이열모이인실이영찬 등과 추상적 요소의 도입 등 수묵의 여러 가능성을 타진하던 송수남이철량하태진이종상 등의 작품이 선보이고 있다.


4 ‘중도의 세계오늘의 표정에서는 수묵화 진영을 강박처럼 붙들던 ‘··에서 벗어난 작가를 소개하고 있다이왈종의 새로운 산수화임효의 재료 실험더 이상 지필묵에 묶여있지 않은 유근택, 화조도에 키치적인 요소를 도입한 김근중의 세계를 만나볼 수 있다물론 이는 수묵화 진영을 중심으로 본 시각이다채색화 진영은 해방 직후부터 이미 서양화의 조형성이나 재료의 혼용을 끌어들이는 실험을 진행했기 때문이다.




이 네 개의 섹션과 에필로그에 등장하는 작가는 에필로그 섹션 벽면 동산방화랑의 전시 이력에 모두 등장한다. 70년대 후반부터 80년대 후반까지 빼곡하던 동산방의 전시 일정은 90년대 중반부터 한가해지기 시작한다화랑의 활동상이나 거래량이 꼭 기획전시를 통해서 증명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랑의 전시가 일종의 쇼케이스라는 점을 감안하면 88올림픽 이후 한국화 진영이 위축돼가는 과정과 드문드문해지는 동산방화랑의 전시 일정 빈도는 닮아있다왜 한국화는 한국인의 미술 시장에서 급작스레 물러나게 됐는가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전시다.



업데이트 2023.07.12 19:59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