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명 : 2024년 한일중 국립박물관 공동특별전 '三國三色-동아시아의 칠기'
장 소 :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1층 특별전시실
기 간 : 2024.7.10 ~ 2024.9.22
글/ 김진녕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국의 명품 칠기를 한데 모은 전시가 열리고 있다. 이 전시의 공식 명칭은 ‘한·일·중 국립박물관 공동특별전 <삼국삼색(三國三色)-동아시아의 칠기>’전이다. ‘한·일·중‘이란 호칭 순서는 이번 서울 전시에만 적용되는 호칭으로 그해 전시 개최국을 먼저 쓰고 그 뒤에 다음 개최국 이름을 표기한다는 ‘규칙’을 적용한 결과다. 그런 규칙을 만들 만큼 삼국 국립박물관의 교류전은 민감하고 뻣뻣한 전시라고 할 수 있다. 어쨌든 세 나라 간에 전쟁이 벌어지지 않는 한 다음 전시는 2년 뒤인 2026년에 도쿄에서 반드시 열린다는 걸, ‘한·일·중’이란 표기에서 알 수 있다.
이번 전시의 도록에 실린 주경미 충남대 교수의 ‘동아시아의 칠기 제작 전통과 확산’이라는 글을 보면 삼국의 칠기 역사를 대략적으로 다루고 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선사시대 칠기가 처음 발견된 것은 1926년 사이타마현의 신푸쿠지眞福寺 패총의 발굴 조사 과정에서 신석기 시대의 칠기편이 출토된 것이었다. 이후 일본에서는 이사카와현의 미비키 유적에서 기원전 5200-5000년 께의 칠기 빗을 비롯한 칠기와 칠공예 제작도구가 출토됐다. 한편 중국에서는 1970년대에 저장성 위야오현 허무두 유적에서 신석기 시대의 목칠기가 다수 출토되기 시작했다. 2001년에는 항저우시 콰후차오 유적에서 기원전 6000년 께의 칠궁漆弓이 발견됐다. 콰후차오 출토 칠궁은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칠기로 나무로 만든 활 표면에 옻칠을 한 것이다. 이러한 고고학적 발굴품을 볼 때, 칠기의 제작 기술은 중국 남부 지역에서 처음 발전하여 점차 주변 지역으로 퍼져나갔을 가능성이 크다.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신석기 시대의 붉은 색간토기 표면에서 옻칠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즉 현재 동아시아 삼국이 자리잡은 지역에서 대략 신석기시대부터 옻칠을 생활의 편리를 위해 이용했다는 것이다. 다만 아시아에서도 지역에 따라 동남아로 분류되는 태국,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에서 사용하던 옻칠과 동북아로 분류되는 동아시아 3국의 옻칠은 다르다고 한다. “대만과 베트남의 옻칠은 투명도가 높고 빨리 마르기 때문에 두껍게 바르는 데 적합하고, 미얀마나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의 옻칠은 색칠하지 않아도 광택이 있는 검은색을 띠고 유연성이 뛰어나다”(도쿄국립박물관장 후지와라 마코토)고 한다.
나전 칠 모란넝쿨무늬 경전 상자, 고려 13~14세기, 높이 22.6cm,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일본쪽 전시물은 금가루를 활용하는 마키에 칠기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쪽에서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일본의 대표적인 칠공예 기법은 마키에 기법이며, 헤이안 시대(8-12세기)에 큰 발전이 이뤄졌다. 헤이안 시대 내내 유행한 도기다시(硏出) 마키에는 칠기 표면에 옻칠로 무늬를 그리고 그 위에 금은 가루 등을 뿌린 뒤 표면에 전체적으로 옻칠을 하고 그려진 무늬를 갈아내는 마키에의 기본적인 기법이다. 이번 전시에는 도키다시 마키에 기법을 사용한 <마키에 칠 연못무늬 경전 상자>를 비롯한 다양한 기법의 마키에 칠기와 유럽으로 수출된 남만칠기, 차 문화에 관련된 칠기 및 소유자의 신분과 취향을 드러내는 인롱印籠 둥의 유물이 출품됐다.”
마키에 칠 미나리무늬 식기, 일본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16세기, 밥그릇 높이 10.5cm,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마키에 칠 국화무늬 뿔대야, 일본 에도 시대, 17세기, 높이 18.7cm,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조칠 구름무늬 탁자, 중국 명, 14~17세기, 높이 13.0cm, 중국 국가박물관
나전 칠 연상, 조선 19~20세기 초, 높이 26.7cm, 국립중앙박물관
조칠 산수인물무늬 운반 상자, 중국 청, 건륭(1735-1796), 높이 32.0cm, 중국 국가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추초도 병풍(참고도판)
전시 전경
마키에 칠 국화물가무늬 책상과 벼루 상자, 일본 에도 시대 19세기, 책상 높이 10.1cm, 일본 도쿄국립박물관